이종욱

22일 사망한 이종욱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선출직 유엔전문기구의 수장을 지낸 첫 한국인이다. 그러나 그의 삶은 ‘권력’에 영합하지 않았다. 그의 시선 늘 힘없는 사람을 향했고 그의 발걸음은 늘 의료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빈민과 함께했다. 그는 여느 의사와 출발부터 달랐다. 1973년 3월 그는 동기생들보다 여섯 살이나 많은 나이에 서울대 의대에 입학했다.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았지만 동기생들은 그가 이미 서울대 공대를 졸업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를 뒤늦게 의사의 길로 이끈 것은 봉사에 대한 남다른 신념이었다. 이 총장과 동기생인 서울대 의대 소아과 김중곤 교수는 “그는 테니스에서는 따라갈 사람이 없을 정도로 잘했고 영어에 능통했으며 막내 동생뻘인 동기생들에게도 온화한 외유내강(外柔內剛)형 인물이었다”며 “그러나 가장 기억나는 것은 정력적인 봉사활동이었다”고 회고했다. 의대 재학시절 내내 그는 경기 안양시 라자로마을에서 한센병(나병) 환자를 돌봤다. 평생 반려자가 된 일본인 동갑내기 가부라키 레이코 씨도 그때 만났다. 가부라키 씨는 당시 가톨릭신자로 한국에 봉사활동을 나와 있었다. 그는 대학을 졸업한 3년 뒤 가부라키 씨와 단출한 살림을 꾸렸다. 대학 졸업 후에도 그는 개업을 하지 않았다. 잠시 춘천의료원에서 환자를 돌봤지만 그 역시 봉사의 차원이었다. 부부는 바로 태평양의 사모아 섬으로 날아가 새로운 봉사인생을 시작했다. 그러다 WHO와 첫 인연을 맺게 됐다. 1983년 피지에서 WHO 서태평양 한센병 자문관으로 근무하면서부터였다. 2003년 1월 그는 강대국의 틈바구니 속에서 치열한 접전 끝에 WHO 사무총장에 당선됐다. 당시 WHO는 그의 당선을 ‘인류애의 승리’로 치켜세웠다. 그가 속했던 결핵국 직원들도 환호성을 올렸다. WHO 본부 예방백신사업국장 시절 그는 소아마비 유병률을 세계인구 1만 명당 1명 이하로 떨어뜨렸다. 누구도 예상치 못했던 성과였다. 이후 그는 ‘백신의 황제’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또 빌 게이츠 등 유명인사들에게서 에이즈 등 각종 질병 퇴치 기금을 따내는 등 ‘펀딩 능력’에서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 지난달 타임지에서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중 한 명인 미국 하버드대 의대 김용 교수도 “이 총장은 행정능력이 천재에 가까울 뿐 아니라 지금까지 내가 본 가장 스마트한 인물이다”라고 평가했다. 그는 사무총장이 된 이후에도 2000cc 하이브리드카를 고집할 정도로 소탈했다. 식사를 항상 구내식당에서 직원들과 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가부라키 씨도 제네바에서의 편안한 삶이 맞지 않다며 남미 페루에서 봉사활동을 하며 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까지 이 총장은 조류 인플루엔자(AI)의 발병을 경고하고 금연 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해 왔다. 총회 참석차 제네바를 방문 중인 마이클 리빗 미국 보건부 장관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총장이 한국전쟁 당시 모친과 함께 수개월간 부친을 찾아다녔다는 얘기를 한 적이 있다. 아마 그런 유년기의 경험이 그가 봉사와 공공 서비스에 헌신하기로 한 이유 중의 하나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마침 제네바에서 열리고 있는 총회에 참석한 전 세계의 보건의료인들이 그가 없는 WHO를 걱정하며 슬픔에 잠겨 있다.

김상훈 기자